반응형 과학/식물57 고들빼기 꽃 관찰 고들빼기라는 국화과 식물이 있습니다. 지난번에 소개한 개망초도 국화과인데요. 개인적으로 국화과 꽃을 좋아합니다 ㅎㅎ 개망초처럼 고들빼기도 도로 야지에서 자주 볼 수 있는데요, 노란색 꽃이 피는 식물입니다. 뒤에 강아지풀도 보이네요. 나중에 꽃이 지면 민들레처럼 씨앗이 바람에 날려가는 특징이 있습니다. 고들빼기의 꽃만 보면 씀바귀와 뽀리뱅이의 꽃과 되게 헷갈리는데요, 다음에 그 내용에 대해서도 포스팅하겠습니다~!! 2022. 5. 25. 아카시아와 아까시 아카시아 나무와 아까시 나무를 구분해 보겠습니다. 동요 속에도 있는 아카시아 나무는 실제로는 아까시 나무가 정확한 명칭입니다. 물론,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아카시아라는 표현이 이미 대중화되었기 때문에 표준어로 인정을 해서 틀린 표현은 아니니, 두 명칭 모두 맞지만 구분을 위해서 아까시라고 부르는 게 저는 마음이 편하네요. 1. 아까시 나무 아까시 나무에 대해 예전에 포스팅을 한 적도 있는데요, 아카시아는 따로 있는 이름입니다. 아프리카나 호주 등에 사는 다른 나무로, 우리가 아는 아까시 나무는 학명이 robinia pseudoacasia입니다. 영어로 false acasia라고 부르는데, 일본을 거쳐 우리나라로 오면서 아카시아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아까시 나무는 장미목 콩과 아까시나무속에 속하며 아래 사진의.. 2022. 5. 24. 달맞이꽃과 분홍낮달맞이꽃 달맞이꽃과 분홍낮달맞이꽃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1. 달맞이꽃 달맞이꽃은 이름과 특성이 잘 연결되는 식물이라 한 번 기억하면 잘 안 잊어버리는데요, 이번에 분홍낮달맞이꽃에 대해서도 공부하면서 함께 포스팅을 합니다. 달맞이꽃은 바늘꽃과에 속하며 야지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는 꽃입니다. 이름 그대로 꽃의 개화 시간이 밤이라서 달을 보고 핀다고 하여 달맞이꽃이란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2. 분홍낮달맞이꽃 달맞이꽃 중에 낮에 개화하는 종이 있습니다. 그중에 분홍색 꽃을 가진 분홍낮달맞이꽃을 생각보다 쉽게 접할 수 있었습니다. 꽃잎 색깔이 달맞이꽃과 워낙에 다르고 식물의 높이도 더 낮아서 같은 달맞이꽃인가 싶은 생각이 들었네요. 참고로 낮달맞이꽃에는 노란색 꽃도 있다고 합니다. 달맞이꽃들이 언제 꽃잎을 여는지 한 번.. 2022. 5. 23. 토끼풀과 괭이밥 토끼풀은 클로버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토끼풀의 특징과 괭이밥과의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1. 토끼풀 토끼풀은 콩과에 속하며 길가나, 낮은 산지의 햇빛이 잘 드는 곳에 자라는 식물입니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 3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래서 세 잎 클로버라고 하죠. 네 잎 클로버는 돌연변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토끼풀 군락을 열심히 관찰하다 보면 네 잎 클로버를 찾을 수 있는데요, 보통 네 잎 클로버를 찾으면 근처에서 다른 네 잎 클로버도 찾을 수 있습니다. 세 잎 토끼풀의 꽃말은 행복이고, 네 잎 토끼풀의 꽃말은 행운이며, 행운보다 행복을 추구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세 잎은 믿음, 소망, 사랑을 뜻하고, 네 번째 잎은 행복을 뜻한다는 이야기도 있죠. 토끼가 잘 먹는 풀이라 토끼풀이라고 부.. 2022. 5. 21.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