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과학/과학교구20

스마트폰,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구글 곤충 AR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이용해서 곤충을 AR로 관찰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AR(Augmented Reality)은 증강현실을 말합니다. 현실에 존재하는 이미지에 가상 이미지를 겹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술을 말하죠. 1. 3D 곤충 관찰하기 스마트기기에서 구글앱 또는 크롬앱을 실행시켜서 구글 검색창을 띄웁니다. 검색창에 위 그림에 있는 곤충명 중 하나를 검색합니다. 실제로 사용해 보니, 위 목록 말고도 사마귀 등이 더 가능하지만 모든 곤충으로 체험할 수는 없습니다. 제가 찾은 주요 곤충이 저 정도입니다. 그리고 일부 동물들도 AR 체험이 가능합니다. 이번 시간은 일단 곤충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위 그림은 말벌을 검색한 경우입니다. 검색을 하면 하단에 말벌 그림과 함께 '3D로 보기' .. 2023. 1. 4.
시어핀스키, 시에르핀스키 원리, 교구 만들기 시어핀스키의 수학적 원리를 알아보고, 시어핀스키 삼각형 교구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1. 시어핀스키(시에르핀스키)란?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는 폴란드 수학자(1882년생)입니다. 집합론과 수론 및 위상수학에 공헌하였고, 시어핀스키 삼각형이라는 프랙탈 도형을 창작하였습니다. 시어핀스키는 시에르핀스키의 영어식 표현입니다. 시어핀스키 삼각형은 위 그림처럼 정삼각형의 각 중점을 이어 만든 4개의 작은 정삼각형 중 가운데 1개를 지웁니다. 그 후 남은 3개의 정삼각형에 앞의 과정을 반복하여 더 작은 삼각형들을 만듭니다. 이 과정을 무한히 반복합니다. 반복되면 반복될수록 도형의 개수는 늘어나고 도형의 넓이는 줄어듭니다. 결국, 도형의 개수는 무한대로, 도형의 넓이는 0으로 수렴되는 극한이 적용된 수학적 원리를.. 2022. 9. 7.
내진설계(내진구조), 제진설계(제진구조)의 원리와 교구 교구를 이용해 내진설계와 제진설계를 알아보는 과정을 소개합니다. 1. 내진설계와 제진설계의 원리 가. 내진설계 건물 본체가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방식입니다. 건물 내부에 내진벽, 철근을 이용하여 건물 자체를 튼튼하게 짓는 것으로, 보통의 건물보다 지진 발생 시 흔들림이 감소됩니다. 대표적인 건축물로 국내에서는 롯데월드타워가 있습니다. 롯데타워는 40층 높이마다 건물 중심과 외벽을 대각선으로 잇는 대형 구조물을 설치했습니다. 나. 제진설계 제진 댐퍼라 불리는 기둥이 진동 에너지를 먼저 흡수합니다. 제진 댐퍼는 지진의 힘과 반대방향으로 힘을 주어 건물이 흔들리는 것을 멈추는 역할을 합니다. 이로 인해 건물의 강성, 감쇠 등을 줄여서 피해를 줄이게 되는데, 내진 설계보다 제작 비용은 더 크지만 지진 시 손상.. 2022. 7. 7.
클라드니 도형 장치 만들기 소리의 파동을 눈으로 볼 수 있는 클라드니 도형 장치를 만드는 과정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예전 포스팅에서 간단하게 다룬 적이 있는데요. 이번에는 그 과정을 구체적으로 소개하겠습니다. 1. 클라드니 도형이란? 독일의 학자 클라드니가 발견한 현상입니다. 판의 진동에 의해 모래가 움직이면서 그리는 도형을 말합니다. 진동은 곧 소리의 파동에 의해 일어나며, 소리의 높낮이(주파수)에 따라 파장이 달라집니다. 특정 파장에서 판의 특정 부분은 진동이 심하고, 다른 부분은 진동이 약하게 되는데, 이때 가벼운 모래가 진동이 적은 곳으로 모이면서 특정한 무늬 또는 도형을 이루게 됩니다. 이 결과물을 클라드니 도형이라고 합니다. 판의 크기와 모양이 달라진다면 같은 주파수에서도 다른 클라드니 도형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실험을.. 2022. 7.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