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과학/과학교구20

부산과학체험관 내진설계 체험부스 지진에 대비한 건축물 설계에 크게 내진구조, 제진구조, 면진구조를 이용한 방법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내진설계란 좌우 진동에 건축물이 대응할 수 있도록 건축물 내부의 가로축을 튼튼하게 하는 구조를 말합니다. 부산 과학체험관 내진 설계 체험부스 부산 과학체험관에 출장을 가서 여러 시설을 둘러보던 중 내진 설계 체험 부스가 눈에 띄었어요. 보통 고정된 전시물에 진동 모터를 이용해 지진을 일으켰을 때 일반 건물과 내진 건물이 어떻게 다르게 반응하는지 보도록 되어 있는데, 여기는 나무 막대에 자석을 활용해 학생들이 직접 내진 설계를 해보고 체험해보게 하는 아이디어가 신선했어요. 다음에는 이 아이디어를 응용해서 교구를 제작해보려고 해요. 그리고 다음 포스팅에는 내진 설계에 대해 소개하려고 합니다. ㅎㅎ 2022. 6. 8.
사이펀의 원리 변기 교구 제가 일하는 곳에 전시되어 있는 사이펀의 원리 교구에 대해서 소개하겠습니다. 매일 사용하는 변기에도 과학 원리가 숨어있습니다. 저는 그냥 물을 내려보내니까 깨끗이 흘러가겠지 하고 쉽게 생각했는데 나름 과학 원리가 숨어있었습니다. 바로 사이펀의 원리인데요, 사진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사이펀은 고대 그리스어에서 파이프를 뜻하는 것으로 보통, 거꾸로 된 U자관을 말합니다. 변기의 보이지 않는 쪽에 사진처럼 아래에서 위로 갔다가 다시 아래로 내려오도록 구성된 관이 보입니다. 평상시에는 물이 사이펀 높이보다 낮기 때문에 깨끗한 물이 고여있게 되어서 하수도에서 올라오는 냄새를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면 사이펀의 원리가 구체적으로 무엇일까요? 사이펀은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유체를 끌어올릴 수 있는 구부려진 관을.. 2022. 6. 7.
빛의 삼원색 교구, 무드등 판매품은 아니고 제 직장에서 간단히 개발한 교구입니다. 기본적인 구성은 브레드보드에 삼색(빨강,파랑,초록) led 전구가 연결되어 있고, 각 색깔에 대해 전압 조절 다이얼이 설치되어 있어서 삼원색의 빛의 세기를 각각 조절할 수 있습니다. 빛의 삼원색은 위 그림과 같고, 세 가지 빛이 같은 양만큼 만나면 흰빛이 됩니다^^ 한 가지 빛만 켰을 때 모습이구요, 빨강과 초록빛을 동시에 켜서 다이얼을 잘 조절하면 노란빛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초록과 파랑빛을 이용해 청록색도 만들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세 가지 빛을 모두 사용해 흰빛을 만들어 봤습니다. 빛의 혼합에 대해 직관적으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실험장치를 만들어 봤는데요, 위에 종이컵이나 다른 커버를 씌운다면 예쁜 무드등으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2022. 6. 4.
로봇 물고기 풍선 제가 일하는 곳에서 어린이날을 맞아 구입한 물품이 참 신기해서 포스팅을 남깁니다. 바로 풍선 물고기입니다. 흰동가리, 일명 니모의 모습을 한 풍선인데요, 처음에 멀리서 봤을 땐 헬륨 풍선이구나 생각했습니다. 그러다가 자세히 보니 꼬리지느러미가 움직이는 모습을 보고 깜짝 놀랐네요. 사진을 자세히 보시면 꼬리지느러미가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운동을 통해 물고기의 전진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물고기 배(바닥) 쪽을 보면 추가 달려있고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리모컨으로 추의 이동을 통해 물고기를 위 또는 아래로 향하게 하여 높이 이동이 가능하게 됩니다. 리모컨인데요, 자세히 보면 made in china가 보입니다. 검색해보니 10년 정도 전부터 해외 직구를 했었던 것 같고,.. 2022. 5.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