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과학162

곤충의 한살이, 초파리 한살이 알아보기 곤충의 한살이는 알에서부터 어른 벌레가 될 때까지의 과정을 말하는데요. 과거와 비교해서 바뀐 용어를 정리해 보고, 더 나아가서 초파리의 한살이를 사진으로 알아보겠습니다. 1. 곤충의 한살이 위 그림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곤충이 알에서 출발해서 애벌레, 번데기, 어른벌레가 되는 과정을 한살이라고 합니다. 보통은 번데기 과정을 거치지만 잠자리의 경우 번데기를 거치지 않고 애벌레에서 바로 어른벌레가 되는데요. 이러한 한살이를 불완전탈바꿈이라고 합니다. 과거와 바뀐 용어를 정리하면 과거에는 완전변태, 불완전변태라고 부르던 것을 탈바꿈으로, 성충 또는 성체로 부르던 것을 어른벌레로 순우리말로 바꿔서 교과서에서 가르치고 있습니다. 확실히 용어가 더 쉬워지고 아름다워졌네요. 완전 탈바꿈의 곤충에는 나비, 초파리 .. 2023. 1. 6.
스마트폰,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구글 곤충 AR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이용해서 곤충을 AR로 관찰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AR(Augmented Reality)은 증강현실을 말합니다. 현실에 존재하는 이미지에 가상 이미지를 겹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술을 말하죠. 1. 3D 곤충 관찰하기 스마트기기에서 구글앱 또는 크롬앱을 실행시켜서 구글 검색창을 띄웁니다. 검색창에 위 그림에 있는 곤충명 중 하나를 검색합니다. 실제로 사용해 보니, 위 목록 말고도 사마귀 등이 더 가능하지만 모든 곤충으로 체험할 수는 없습니다. 제가 찾은 주요 곤충이 저 정도입니다. 그리고 일부 동물들도 AR 체험이 가능합니다. 이번 시간은 일단 곤충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위 그림은 말벌을 검색한 경우입니다. 검색을 하면 하단에 말벌 그림과 함께 '3D로 보기' .. 2023. 1. 4.
광학현미경과 실체현미경 비교하기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한번쯤 현미경을 사용했었습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쉽게 접할 수 있는 현미경에는 광학현미경과 실체현미경이 있는데요. 두 현미경을 자세히 알아보고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1. 광학현미경 광학현미경은 빛을 투과시켜서 시료의 내부를 확대해서 보는 기구입니다. 아래 사진으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가. 렌즈 눈을 갖다대는 부분인 접안렌즈와 시료와 직접 마주 보는 부분인 대물렌즈 이렇게 두 가지로 구성됩니다. 보통 접안렌즈의 배율은 10배이고, 대물렌즈의 경우 일반적으로 4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렌즈 뭉치를 회전시켜서 원하는 배율의 렌즈를 가운데에 둘 수 있습니다. 대물렌즈는 렌즈의 크기가 클수록 배율이 커지는데 보통 4배, 10배, 40배, 100배의 배율을 가집니다. 현미경의 배율은.. 2022. 12. 31.
2022년 노벨상, 의학, 생리학상, 스반테 페보 2022년 노벨상을 정리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2022년 노벨상 중 의학, 생리학상을 수상한 스반테 페보 교수님의 업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반테 페보 교수님은 스웨덴인으로 독일, 막스플랑크진화인류학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으며, 오키나와과학기술대학원대학 교수로도 재직하고 있습니다. 1. 기존 현생 인류에 대한 연구 현생 인류는 현재 세계를 지배하고 있는 인간, 즉 호모 사피엔스를 말합니다. 호모 사피엔스와 가까운 종이며,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종 중 네안데르탈인이 있는데요. 네안데르탈인을 비롯해서 영장류 중 인간과 가장 가까운 침팬지에 이르는 다양한 종들 사이의 관계를 많이 연구해 왔습니다. 과거에는 비교하는 방식이 발굴된 뼈의 특징을 해부학적으로 분석하는 고생물학과 고고학을 이용했습니다. 그렇게 .. 2022. 12.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