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과학162

땅강아지, 귀뚜라미 비교하기 어렸을 때 모래놀이터에서 봤었던 것 같지만, 철들고 땅강아지를 본 것은 처음이었습니다. 귀여운 곤충이 있어서 찾아보니 땅강아지 었네요. 땅강아지의 생김새, 생태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비슷하게 생긴 귀뚜라미와 비교해보겠습니다. 1. 땅강아지 분류: 메뚜기목 땅강아지과 출현 시기: 5~10월 땅속에서 식물의 뿌리를 먹거나 곤충을 잡아먹습니다. 때로는 지렁이를 먹기도 합니다. 도시에서는 땅속에서 먹을 식물 뿌리 등이 부족하기 때문에 찾아보기 힘듭니다. 포스팅한 사진은 10월에 경북 청도읍성에 나들이 갔다가 우연히 발견해서 찍었습니다. 아래 사진의 땅강아지 옆모습을 보면 앞다리가 잘 발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앞발이 넓고 삽같이 생겨서 땅을 파는데 특화되었고 땅속을 헤집어 다니기 때문에 토양의 .. 2022. 11. 26.
쓴맛의 식물, 민들레, 씀바귀, 고들빼기, 라일락, 쓴풀, 소태나무 씀바귀, 쓴풀, 소태나무는 이름 자체에 쓴맛이 느껴지는 식물입니다. 실제로도 쓴맛의 잎을 가지고 있는데요, 목적은 쓴맛을 만들어내어 애벌레들이 잎을 먹지 못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잎을 자세히 보면 다른 나뭇잎에 비해 벌레가 먹은 흔적이 적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지금부터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쓴맛의 식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민들레 분류: 국화과 분포지역: 전국 형태: 여러해살이풀 개화시기: 4~5월 https://scinews.tistory.com/4 서양 민들레와 토종 민들레 차이, 구별 서양 민들레와 토종 민들레의 차이점과 국화과 꽃의 특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국화과 꽃의 특징 흔하디 흔한 야생화 중에 하나가 민들레가 아닐까 싶은데요, 요즘 길에서 보이기 시작했습 s.. 2022. 11. 17.
짜장면 먹을 때 물이 생기는 이유, 전분, 삼투 현상, 삼투압 짜장면을 먹을 때 물이 많이 생기는 사람이 있습니다. 제가 그런 경우인데요, 그래서 사람들이랑 같이 중국음식을 시켜먹을 때, 짜장면을 먹기가 꺼려질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때 생기는 물은 절대 침이 아닙니다. 절대 지저분한 현상은 아닌데요, 원인은 아밀레이스라는 효소와 물을 머금은 전분, 그리고 삼투 현상 때문입니다. 지금부터 왜 물이 생기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짜장면에 들어있는 전분(녹말)과 침 속에 들어있는 아밀레이스(아밀라아제) 먼저 탄수화물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 다당류: 녹말(전분), 글리코겐, 셀룰로스 나. 이당류: 엿당, 설탕, 젖당 다. 단당류: 포도당, 과당, 갈락토스 이렇게 탄수화물은 분자량에 따라 다당류, 이당류, 단당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다당.. 2022. 11. 13.
아래를 향해 피는 꽃과 벌의 관계, 은방울꽃, 금강초롱, 때죽나무, 얼레지 많은 야생화 중에 꽃의 방향이 아래를 향하는 것들이 꽤 많습니다. 은방울꽃, 금강초롱, 때죽나무, 얼레지 등등을 생각해볼 수 있는데요. 아래를 향해 피는 꽃은 벌과 특별한 관계가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거꾸로 매달리는 동작을 잘하는 벌에게 유리한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나비나 나방, 풍뎅이 등은 이 꽃들에 방문하기가 쉽지 않고 벌의 접근성은 높아집니다. 물론 일부 나비도 오지만 벌이 훨씬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꽃가루를 묻힌 벌의 두 번째 행선지로 엉뚱한 다른 식물종의 꽃으로 가지 않고 다시 같은 종의 꽃으로 이동할 확률을 높입니다. 나름 전략적입니다. 반대로 해바라기처럼 위를 향하고 커다랗게 생긴 꽃은 많은 곤충이 모여들게 해서 모든 곤충의 접근성 자체를 높여서 꽃가루받이 확률을 높이.. 2022. 11.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