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5

시어핀스키, 시에르핀스키 원리, 교구 만들기 시어핀스키의 수학적 원리를 알아보고, 시어핀스키 삼각형 교구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1. 시어핀스키(시에르핀스키)란?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는 폴란드 수학자(1882년생)입니다. 집합론과 수론 및 위상수학에 공헌하였고, 시어핀스키 삼각형이라는 프랙탈 도형을 창작하였습니다. 시어핀스키는 시에르핀스키의 영어식 표현입니다. 시어핀스키 삼각형은 위 그림처럼 정삼각형의 각 중점을 이어 만든 4개의 작은 정삼각형 중 가운데 1개를 지웁니다. 그 후 남은 3개의 정삼각형에 앞의 과정을 반복하여 더 작은 삼각형들을 만듭니다. 이 과정을 무한히 반복합니다. 반복되면 반복될수록 도형의 개수는 늘어나고 도형의 넓이는 줄어듭니다. 결국, 도형의 개수는 무한대로, 도형의 넓이는 0으로 수렴되는 극한이 적용된 수학적 원리를.. 2022. 9. 7.
포화지방, 불포화지방, 트랜스지방이란? 포화지방과 불포화지방을 구분하고 더 나쁜 지방으로 알려진 트랜스지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포화지방과 불포화지방 3대 영양소에 지질이 있으며, 이 지질의 95% 이상이 중성지방입니다. 중성지방이란 흔히 우리가 부르는 살이며, 뱃살, 엉덩이살에 주로 많이 존재합니다. 중성지방은 분자 구조적으로 글리세롤 한 분자에 긴 지방산 분자 3개가 결합된 구조입니다. 지방산은 긴 탄소 골격을 갖고 있는데, 보통 탄소 원자 16개 혹은 18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때 탄소 원자 사이의 공유 결합의 방식에 따라 두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가. 포화지방 사슬을 이루는 탄소원자 간에 이중결합이 없으면 수소 원자는 탄소골격에 가능한 한 많이 붙게 되며 이러한 분자를 포화지방산이라고 합니다. 포화지방산으로 이루어진 중.. 2022. 9. 6.
역대 과거 태풍 검색하는 법, 기상청 날씨누리 역대급 태풍인 태풍 힌남노가 발생했습니다. 그렇다면 과거의 태풍을 검색하는 방법과 기상청 날씨누리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1. 태풍이란? 태풍은 왜 생기는 걸까요? 태풍이 생기는 에너지의 근원은 태양에너지입니다. 지구는 구형으로 되어 있어 태양으로부터 오는 열에너지가 골고루 전달되지 않습니다. 덕분에 저위도와 고위도 사이에는 열에너지 불균형이 나타나게 됩니다. 태양의 고도각이 높아 많은 에너지를 축적한 적도 부근의 바다에서 거대한 저기압 층이 태풍으로 발달하게 됩니다. 태풍은 바다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공급받아 적도에서 고위도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많은 피해를 발생시키지만 지구 전체로 봤을 때는 지구 남북 간의 에너지 불균형을 해소하는 역할을 합니다. 필연적으로 발생하.. 2022. 9. 6.
혀말기, 귓불, 미맹, 보조개, 눈꺼풀 유전, 단일인자유전 혀말기가 되는 사람이 있고, 안 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귓불도 분리형이 있고, 부착형이 있는데요. 이렇게 뚜렷하게 구분되는 유전 현상에는 어떤 것이 있고, 원리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단일인자유전의 원리와 예시 가. 단일인자유전의 원리 단일인자유전이란 한 쌍의 대립유전자 쌍에 의해서 형질이 결정되는 유전을 말합니다. 상대되는 개념으로 다인자유전이 있습니다. 대립유전자는 상동염색체의 동일한 위치에 있는 유전자로서 부모로부터 어떤 대립유전자를 물려받느냐에 따라 자손의 형질이 결정되게 됩니다. 형질의 결정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한 쌍뿐이기 때문에 다인자유전과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대립형질이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혀말기가 된다 / 안된다, 미맹이다 / 미맹이 아니다, 보조개가 있다 / 없다 등으로 뚜.. 2022. 9.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