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5

혈액형 유전(ABO식), 복대립 유전, 공동우성 ABO식 혈액형 유전의 특징인 복대립 유전과 공동우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복대립 유전이란? 일반적으로 사람의 형질이 뚜렷한 경우는 두 가지 형질로 나타납니다. 귓불이 분리형이냐, 부착형이냐, 혀말기가 되냐, 안 되냐, 미맹이냐 아니냐 등의 사례가 있죠. 하지만 ABO식 혈액형의 경우 뚜렷한 대립형질이 A형, B형, AB형, O형으로 4가지나 나타납니다. 이 차이는 ABO식 혈액형을 결정하는 대립유전자가 일반적인 2개가 아니라 3개이기 때문에 나타납니다. 복대립 유전이란 한 형질을 결정하는 대립유전자가 셋 이상일 때 나타나는 유전현상입니다. 다시 아래 그림으로 설명하면, 완두의 경우 완두의 둥근 모양을 결정하는 유전자를 R, 주름진 모양을 결정하는 유전자를 r을 가지며 이렇게 일반적인 2가지의 대.. 2022. 8. 24.
팔손이의 특징 이름부터 특이한 팔손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팔손이의 주요 특징 분류: 두릅나무과 분포지역: 경상남도 형태: 상록 활엽 관목 개화시기: 10~11월 해안가의 상록수림 하부에 군생하는 극음수로 그늘진 곳과 적당한 보습성을 지닌 비옥한 곳에서 잘 자랍니다. 각종 공해에 강하며 내조성이 있고 입지의 영향을 잘 받지 않습니다. 위 사진은 울릉도에서 찍었는데, 해안지방에 잘 볼 수 있습니다. 팔손이는 생장속도가 빠르고 공해에 강해 쓰임새가 높은 나무입니다. 2. 팔손이의 이름 유래 잎은 줄기 끝에서 잎몸은 7-9갈래로 가운데까지 갈라져 손바닥 모양을 가집니다. 마치 8갈래로 갈라진 손 모양 같아서 팔손이란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2022. 8. 23.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17세기 중반 수학을 이끌고, 근대 정수론의 창시자인 페르마가 남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페르마의 정리 페르마는 3세기 수학자 디오판토스의 책 '산술'을 열심히 읽었으며, 피타고라스의 법칙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이 법칙에서 제곱을 3 제곱이나 4 제곱으로 확장하면 어떻게 될지 생각하였습니다. 이것을 연구하면서 유명한 말을 남깁니다. "3 이상의 정수 n에 대해서 Xn+Yn=Zn을 만족하는 정수는 존재하지 않는다. 나는 놀랄만한 증명을 발견했지만, 그것을 쓰기에는 여백이 너무 좁다." 페르마가 죽은 후 아들이 페르마의 여러 연구를 추가하여 '산술'을 재출판하면서 세상에 알려지고, 후대 수학자들에게 큰 숙제를 남긴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이렇게 등장합니다. 2. 페르마의 마지막 .. 2022. 8. 22.
연관 유전, 빨간 머리와 주근깨 멘델의 유전 법칙과 관련해서 연관 유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빨간 머리인 사람은 주근깨가 있다? 빨간 머리 앤과 말괄량이 삐삐의 공통점이 무엇일까요? 바로 머리색이 붉은 것과 얼굴에 주근깨가 많은 소녀라는 사실입니다. 두 캐릭터는 워낙 인상적이어서 외모가 기억에 남는데요. 두 캐릭터의 외모가 비슷한 것이 우연일까요? 이 비밀은 유전 현상에 있습니다. 백인 여성 일부는 빨간 머리를 나타내는 유전자와 주근깨를 만드는 유전자가 같은 염색체 상에 있다고 합니다. 여러 유전자가 같은 염색체 상에 있는 현상을 연관이라고 하는데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 연관 유전 사람의 경우 유전자를 약 2만 5천 개를 가집니다. 이 유전자는 각 염색체의 특정 위치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사람의 염색체의 경우 .. 2022. 8.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