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5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바이러스와 박테리아 구별하기 바이러스는 생물일까요? 무생물일까요? 판단에 대한 근거를 알아보고, 바이러스와 헷갈리는 용어인 박테리아는 바이러스어 무엇이 다른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바이러스의 생물적 특성과 무생물적 특성 지난 포스팅에서 생물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 조건을 들여다봤을 때, 바이러스가 생물이라고 할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생물의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생물의 특성 1)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2) 물질대사를 한다. 3) 생식과 유전을 한다. 4) 발생과 생장을 한다. 5) 자극에 대한 반응을 한다. 6) 항상성을 유지한다. 7) 적응과 진화를 한다. 생물의 특성을 봤을 때, 이를 바이러스의 특성에 대입하면 몇 가지가 해당되고 해당 안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으로 정리했습니다.. 2022. 9. 2. 생물의 특성, 생명 현상의 특성 살아있는 생물의 공통적인 특성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단순히 "움직인다"는 조건만으로는 아래 그림이 설명되지 않습니다. 로봇 강아지도 움직임은 분명히 있지만, 우리가 로봇에게 생물이라고는 하지 않고 무생물이라고 하죠. 반면에 개구리는 당연히 생물이라고 생각되죠. 그렇다면 생물을 정의하기 위해서 살아있는 생물의 공통적인 생명 현상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세포로 구성된다. 모든 생물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가장 단순한 세균은 단세포로 이루어져 있고, 사람의 경우 약 60조개의 세포로 몸을 구성합니다. 세포는 생물의 기본단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생물과 무생물을 구분할 때, 가장 먼저 따져봐야 할 것이 세포로 되어있느냐입니다. 2. 물질대사 물질대사란 생물체 내에서 일어나는 .. 2022. 8. 31. 혈액형을 결정하는 것은 무엇일까? 혈액형 응집원과 응집소 ABO식 혈액형으로 A형, B형, AB형, O형이 있습니다. 이런 혈액형은 부모님으로부터 유전으로 물려받게 됩니다. 혈액형 유전에 대한 설명은 지난 포스팅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 오늘은 이렇게 혈액형이 구분되는 생물학적인 차이점, 즉 혈액형을 결정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1. 혈액형을 결정하는 요인, 응집원 사람의 혈액형에는 대표적으로 ABO식 혈액형과 Rh식 혈액형이 있습니다. 이 혈액형을 결정하는 생물학적인 차이점은 바로 적혈구에 있습니다. 적혈구도 하나의 세포입니다. 세포분열로 만들어진 적혈구는 핵이 사라지고 오로지 산소 등의 기체 운반에 특화된 세포가 됩니다. 적혈구도 세포이기 때문에 당연히 세포막에 둘러싸여 있으며 세포막에는 다양한 막단백질이 존재합니다. 막단백질 중에 일부는 .. 2022. 8. 30. 활엽수와 침엽수, 넓은잎과 바늘잎 나무를 크게 활엽수(넓은잎나무)와 침엽수(바늘잎나무)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활엽수보다는 침엽수의 종류가 적으며, 전 세계에는 약 500종이 있고, 우리나라에는 약 50종이 자생하고 있습니다. 동네 근처의 산을 올라다 보면 주로 참나무와 소나무들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활엽수와 침엽수의 대표적인 나무인데요, 사진으로도 참고 삼아 확인해보면서 각각이 환경에 어떻게 적응하고 진화하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잎모양과 쌓이는 눈 겨울에 눈이 오면 나무의 잎에 쌓이게 됩니다. 활엽수의 넓은잎에는 아무래도 상대적으로 잎이 넓고 나무 모양이 둥그스름하기 때문에 눈이 많이 쌓입니다. 눈이 너무 많이 쌓이면 눈의 무게에 나뭇가지가 부러지기 때문에 활엽수는 눈이 올 무렵에 잎을 떨어뜨려서 눈이 쌓이지 않게 합니.. 2022. 8. 29.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4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