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5

이름에 꼬리가 포함된 식물, 꼬리풀, 긴산꼬리풀, 여우꼬리풀, 꽃범의꼬리, 꼬리진달래 우리나라 야생화에는 이름에 꼬리가 포함된 것이 많습니다. 특히 꽃의 모양이 꼬리 같다는 이유인데요. 꼬리가 포함되니 이름이 참 정겨워집니다. 제가 다니면서 직접 찍은 식물 중에 꼬리가 들어간 식물을 소개합니다. 물론 소개한 것 말고도 더 많은 꼬리 이름의 식물이 있지만 다 소개하지 못한 점 양해 바랍니다. 1. 꼬리풀 분류: 현삼과 분포지역: 전국 형태: 여러해살이풀 개화시기: 8~10월 2. 긴산꼬리풀 분류: 현삼과 분포지역: 전국 형태: 여러해살이풀 개화시기: 7~8월 수목원에서 발견한 꽃입니다. 하늘색 꽃이 피며 꼬리풀과 비교해서 잎의 결각이 더 큽니다. 3. 여우꼬리풀 분류: 대극과 원산지: 인도, 동남아시아 개화시기: 봄, 여름 열대 지역이 원산지인 식물로 식물 박람회에 참석해서 찍게 된 사진입.. 2022. 9. 29.
나팔꽃 구분하기, 둥근잎나팔꽃, 미국나팔꽃, 메꽃, 애기메꽃, 갯메꽃 여름과 가을에 나팔 모양의 많은 꽃들이 나타납니다. 저는 나팔꽃과 메꽃 정도는 구분했었는데요, 다양한 꽃들을 살펴보니 그보다 더 많은 종들이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우선 야생화 도감상에선 나팔꽃이란 종은 없으며 대부분 둥근잎나팔꽃 아니면 미국나팔꽃이며 나팔꽃은 이를 통칭하는 말인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전체적으로 한번 같이 구분해보겠습니다. 1. 둥근잎나팔꽃 분류: 메꽃과 분포지역: 중, 남부지방 형태: 한해살이풀 개화시기: 7~10월 저는 보통 나팔꽃과 메꽃을 구분할 때, 잎 모양이 하트 모양인지를 확인합니다. 둥근잎나팔꽃이 잎모양이 정확히 하트를 그리며, 이를 넓은 심장형에 가장자리가 밋밋하다고 표현합니다. 아래 심장형 잎모양을 보시고 다음에 나팔꽃 구분에 팁을 얻으시면 되겠습니다. 열대 아메리카 .. 2022. 9. 25.
닭의장풀과 자주달개비 달개비라고도 불리는 닭의장푸과 양달개비로도 불리는 자주달개비를 서로 비교해보겠습니다. 1. 닭의장풀 분류: 닭의장풀과 분포지역: 전국 각지 형태: 한해살이풀 개화시기: 7월 ~ 9월 닭장 근처에서 자라기 때문에 닭의장풀이란 이름이 붙었습니다. 또는 꽃잎이 닭의 볏과 닮았다는 이유도 알려져 있네요. 닭의장풀의 특징은 꽃의 특이한 꽃잎과 수술입니다. 6장의 꽃잎 중 3장은 하얀색으로 뒤쪽에 달리고 나머지 3장 중 한 장은 흰색, 나머지 커다란 두 꽃잎이 메인으로 파란색을 띱니다. 그래서 잘못보면 커다란 두 개의 꽃잎이 꽃받침이고, 가운데 노란색의 수술이 마치 작은 십자화 세 개의 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 수술이며 참 특이하게도 암술 한 개에 수술이 여섯 개인데 수술 모양이 각기 다르다는 특징이.. 2022. 9. 23.
거인이 될 수 없는 이유, 체적과 면적의 차이 영화에서나 '진격의 거인'같은 만화에서는 다양한 거인이 등장합니다. 사람의 경우 키가 크더라도 2m 남짓인데요. 우리의 몸이 이보다 더 커진다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1. 역학적 문제의 발생, 발목에 가해지는 부하 거인으로 변한다고 했을 때, 인간의 키가 10배 커지면, 체중은 체적에 비례하므로 10×10×10=1000배가 됩니다. 반면, 체중을 떠받치는 발바닥의 면적, 관절에서 뼈끼리의 접촉 면적 등은 10×10=100배 밖에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발바닥과 관절에 걸리는 압력은 거인이 되기 전 보다 10배 커지게 됩니다. 현실적으로 직립 보행조차 할 수 없는 상태가 될 것입니다. 2. 열의 문제 인간의 세포는 세호호흡을 통해 항상 일정량의 열을 발생시킵니다. 특히 체온 항상성.. 2022. 9.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