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학/과학상식40 식물과 진딧물, 개미의 관계 공생관계라고 하면 대표적으로 개미와 진딧물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개미는 진딧물을 보호해주고 대신에 진딧물로부터 먹이를 얻는 관계입니다. 그렇다면 식물 입장에서는 어떤 이익이 있을까요? 식물 줄기의 수액을 빨아먹는 진딧물은 분명 식물에게 피해를 주지만, 진딧물의 꿀똥을 먹기 위해 개미가 오고 그 개미 때문에 다른 곤충의 애벌레들이 오지 못합니다. 식물 입장에선 진딧물에게 수액을 주고 더 많은 천적을 막아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작은 걸 희생해서 큰 부분을 지켜냈다고 볼 수 있네요. 이렇게 우리 자연은 나름의 조화를 찾아가는 멋진 모습을 보여줍니다. 2022. 7. 20. 흙의 역할, 수분을 보관하는 흙 흙과 수분의 관계에서 보는 흙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 흙 속에 물이 얼마나 있을까요? 건강한 토양일수록 흙 사이의 틈이 발달해 있습니다. 비가 오면 그 틈으로 물이 다 들어가게 됩니다. 건강한 숲 속 토양 1㎥는 물 200리터를 머금고 있다고 합니다. 결국 흙을 가진 숲은 좋은 댐 역할을 합니다. 홍수가 나듯 비가 많이 오면 숲 속 토양이 물을 머금어서 홍수를 막아주고, 반대로 비가 오지않아 가뭄이 길어지면 머금은 물을 천천히 계곡으로 흘려보냅니다. 그래서 숲이 우거지면 웬만큼 가물어도 계곡물이 마르지 않습니다. 무분별한 산림의 개간사업이 큰 문제를 초래하는 것이 바로 이러한 흙의 기능때문입니다. 인간과 자연이 어떻게 조화를 이룰 수 있을지 고민해야하는 부분이라고 생각됩니다. 2022. 7. 11. 말벌의 공격성 말벌이 어떤 경우에 공격을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말벌의 공격성 말벌의 공격성은 사냥을 위한 공격과 방어를 위한 공격으로 나뉩니다. 장수말벌의 경우 일벌의 개체수가 느는 8~9월에 꿀벌의 유충과 번데기를 먹이로 노려 꿀벌집을 습격한다고 합니다. 말벌은 꿀벌의 천적으로 공격당한 꿀벌은 궤멸되고 맙니다. 2. 말벌의 천적 반대로 말벌의 천적은 곰과 사람입니다. 말벌집이 확실한 단백질원이 되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말벌은 검은색이면서도 빛나는 부분을 공격한다고 하는데, 그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실제로 검게 빛나는 곰의 코, 사람의 눈, 검은 머리는 급소로 볼 수 있습니다. 단, 말벌이 사람과 곰을 먼저 쏘지는 않으며, 자극을 주었을 때만 반응하기 때문에 무심결에 말벌집에 자극을 줘서 공격당하지 않.. 2022. 7. 8.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특징, 왜 유행할까? 최근 유행하고 있는 원숭이두창 바이러스의 특징이 무엇이고, 왜 유행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원숭이두창 바이러스의 특징 가. 최초의 발견 1958년 덴마크의 실험실에서 천연두 증상을 보이는 원숭이에게서 최초로 발견되었습니다. 그리고 1970년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첫 사람 감염이 확인되었습니다. 나. 바이러스 계통 역사적으로 크게 중앙아프리카 계통과 서아프리카 계통이 있습니다. 과거 데이터를 기반했을 때, 중앙아프리카 계통의 바이러스가 서아프리카 계통보다 전염성과 치명률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 전파 방식 감염된 동물, 사람의 혈액, 체액, 병변 등에 접촉 시 전파됩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이 공기 감염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라. 증상 잠복기가 6~13일이며 최대 3주까지 가능.. 2022. 7. 7. 이전 1 2 3 4 5 6 7 8 ···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