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과학/과학상식40

미생물 단백질로 탄소 배출량 감소 미생물을 이용해 단백질을 만드는 기술로 탄소 배출량을 얼마나 줄일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1. 미생물 단백질 또는 공기 단백질이란? 미생물 단백질 연구의 시작은 우주비행사용 단백질 공급 문제 해결이었습니다. 수소영양박테리아는 수소와 이산화탄소를 먹이로 이용해 단백질을 토해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했으며, 이 단백질의 경우 순도 80%로, 콩의 단백질 함유량 40%의 두배라고 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다양한 기업에서 개발되고 있는데, 어느 회사의 경우 미생물 단백질은 식물육, 배양육보다 100배나 더 친환경적입니다. 1㎏의 소고기를 생산하는 데는 1만5천리터의 물이, 1㎏의 대두를 생산하는 데는 2500리터의 물이 필요하지만, 미생물 단백질 1㎏을 생산하는 데는 10리터의 물만 있으면 된다.. 2022. 7. 31.
모기 퇴치 방법: 유전자 변형(GM) 모기 모기는 지역에 따라 다양한 질병의 매개체가 됩니다. 야생 이집트숲모기는 소두증을 일으키는 지카바이러스와 급성 열질환을 일으키는 뎅기 바이러스를 옮깁니다. 이러한 모기의 개체수를 줄이는 GM 모기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1. 유전자 변형(GM) 모기 지난해 4월부터 7개월간 미국 플로리다 남쪽 키스 제도에서 500만 마리의 유전자 변형 모기를 방사해 모기 개체수를 줄이는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이 방식의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전자 변형 모기는 암컷 자손에서 발현되는 치사 유전자를 갖고 있습니다. 치사 유전자란 이 유전자를 가지고 태어난 개체는 유전자가 발현되어 성체가 되기 전에 일찍 죽게 됩니다. 결국 유전자 변형 수컷 모기가 야생의 암컷 모기와 짝짓기를 해 태어난 자손 중 암컷이 일찍 죽게 되.. 2022. 7. 31.
송이버섯 표고버섯, 능이버섯, 송이버섯을 보통 최고의 버섯이라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비싸서 자주 먹지는 못합니다. 반면에 자주 먹는 버섯은 잡채에 넣는 목이 버섯, 느타리버섯, 새송이 버섯, 양송이버섯 등 대부분 재배하는 버섯입니다. 참고로 환각 작용을 일으키는 버섯도 있습니다. 무당이 점치거나 환자를 치료할 목적으로 사용했다고 합니다. - 송이버섯 소나무와 공생하는 것으로 유명한 송이버섯은 주로 15~20년 된 소나무 숲에서 납니다.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다가 꽃을 피우고자 위로 올라온 게 우리가 먹는 송이버섯입니다. 식물과 공생하다 보니 버섯의 분포는 식물의 분포와 비슷하여 일본과 우리나라의 버섯 종류가 비슷하다고 합니다. 2022. 7. 26.
멀미는 왜 할까? 멀미의 원인, 이유 멀미의 증상과 멀미가 일어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멀미의 증상 가벼운 증상으로 선하품, 졸음, 권태감, 피로감이 있습니다. 심한 증상으로 현기증, 두통이 발생하고 최후에는 구토에 이릅니다. 2. 눈과 귀로 느끼는 모순된 움직임 멀미는 감각 신경계의 균형이 무너져서 일어나는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의 원인으로 몸의 움직임을 느끼는 복수의 기관이 모순된 정보를 뇌에 전달하는 것이 있습니다. 우리의 귀에는 반고리관과 전정기관이 있어 각각 회전 감각과 몸의 기울기와 이동을 느낍니다. 당연하지만 눈으로도 우리의 움직임 뇌로 전달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두 감각기관에서 모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승차한 차가 커브를 돌 때, 귀에서는 '움직였다'라고 뇌에 보고하지만 차 안을 보고 있는 눈은 '움직.. 2022. 7.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