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과학/과학상식40

스페이스X의 현재, 우주 개발, 일론 머스크 2011년 NASA는 우주 왕복선을 퇴역시켰고, 이 역할을 이어받아 미션을 수행하고 있는 민간 기업이 스페이스 X입니다. 세계의 상용 인공위성 과반수를 발사해 운용하고 있는데요, 스페이스X의 현재와 미래를 살펴보겠습니다. 스페이스X의 우주 기술 스페이스X의 최강 포인트는 발사비용이 저렴하다는 것입니다. 스페이스X의 팰컨 9이라는 로켓과 비교되는 일본의 로켓 기술과 비교해서 비용이 70%만 소요될 정도로 쌉니다. 스페이스X는 연료엔진을 많이 묶는 클러스터 방식을 채택해 비용을 극적으로 낮췄다는데요, 이 방식은 엔진을 동시에 연소시키기 때문에 제어가 매우 어려운데, 높은 IT기술로 이를 극복했다고 합니다. 1단 로켓 재이용과 화성 이주 또한, 스페이스X는 1단 로켓의 재이용에도 성공하고 있는데요, 그동안은 .. 2022. 6. 23.
코로나 바이러스 제거와 비누, 알코올의 관계 비누는 대표적인 계면 활성제로 물과 기름때의 경계면에 작용해, 원래는 섞이지 않는 물과 기름이 서로 섞이게 하는 작용을 합니다. 계면 활성제의 분자는 기름과 융합하기 쉬운 친유성 부분과 물과 친한 친수성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때문에 옷을 세탁할 때 계면 활성제의 친유성 부분이 옷에 붙은 기름때와 결합해 때를 옷에서 떼어 내고, 친수성 부분에 의해 물에 쉽게 녹아 씻겨 나가게 됩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잘 알려진 대로 아래 그림처럼 막에 둘러싸여 있습니다. 이 막은 엔벨로프라는 지질 이중막인데요,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면 친유성 부분이 지질막과 결합하기 때문에 막을 분해할 수 있습니다. 막이 사라지면 바이러스는 쉽게 파괴되기 때문에 감염력을 상실하게 되고 즉, 비누로 손을 씻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2022. 6. 22.
지구 온난화와 현재의 북극 상황 온실 가스 증가, 지구 온난화, 탄소 중립과 같은 단어는 자동으로 연상되는 요즘 이슈입니다. 이로 인해 북극의 빙하가 줄어든다는 것은 모두 아는 사실인데요. 빙하가 줄어드는 것 이외에 어떤 현상이 일어나고 있고, 현재 얼마나 북극이 심각한지 알아보겠습니다. - 훨씬 빠른 북극의 온난화 북극의 온난화는 지구 평균에 비해 2~3배 빠르다고 합니다. 최근 약 50년 만에 연평균 기온이 3.1도가 상승했는데, 이는 세계 연평균 기온 상승의 3배입니다. 앞으로도 상승 속도의 차이는 유지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과학자들은 이 현상을 북극 증폭이라고 합니다. 복잡한 메커니즘을 가진 북극 온난화에서 최근 밝혀진 주요 요인으로 설빙의 변화가 있습니다. 설빙은 백색이며, 태양빛의 60%를 반사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 2022. 6. 16.
에코백과 비닐봉지, 텀블러와 페트병 비교하기 에코백을 얼마나 자주 써야 환경적, 에너지적 측면에서 의미를 가질까요? 제품을 사용하고 버리는 과정을 봤을 때, 환경 부하가 생기며 제품끼리의 환경 부하를 비교할 때 전 과정 평가라는 기법이 사용된다고 합니다. 제품의 원료가 되는 자원 채굴에서부터 폐기될 때까지 걸리는 환경 부하를 세밀하게 계산해 더한 값이 되고, 일반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 가늠합니다. 이때, 각 나라 별로 에너지 발전 양식의 비중이 달라 어느 나라 기준으로 할 지에 따라 값이 달라질 수 있는데, 일본을 기준으로 낸 데이터를 보겠습니다. 에코백(폴리에스테르) 1장: 781.7g(이산화탄소 배출량) 비닐봉지(폴리에틸렌) 1장: 15.4g 텀블러(스테인리스) 1병: 1390g 페트병 500ml 용기 1병: 119g 이 데이터에 따르면 .. 2022. 6.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