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5 금연을 하면 왜 살이 찔까요? 금연과 체중 증가 흡연자가 담배를 끊으면 살이 찌는 경향이 있다는 건 익히 알려져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연구결과를 소개하겠습니다. 금연 후 체중 증가의 이유 혹시 금연으로 인해 식욕이 증가해 식사량이 커진다고 생각해보셨나요? 저도 그렇지 않을까 생각했었는데, 금연 후 엄격히 칼로리를 제한해도 체중이 증가한다고 하니 다른 이유가 있는 거겠죠. 기존의 이론은 장내에 서식하는 세균 집단 구성의 변화와 관계가 있다는 것인데, 자세한 내용은 밝혀지지 않았는데요. 이스라엘 바이츠만 연구소에서 생쥐로 관련 실험을 했습니다. 흡연과 금연으로 장내에 서식하는 세균 구성이 변하는데, 금연 뒤에는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지 않는 결과를 얻었다고 합니다! 분석 결과 장내 세균의 변화로 장의 에너지를 흡수하는 대사산물이 증가하고, 체중 감소를 .. 2022. 5. 6. 자목련과 자주목련 비교하기 자목련과 자주목련을 비교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자목련과 자주목련의 차이점 어제 아파트에 피어있는 목련을 찍었습니다. 보통 목련은 흰색의 우아한 꽃을 자랑하는데 간혹 저렇게 붉은 계열의 목련도 관찰됩니다. 저는 지금까지 자목련으로 알고 그렇게 불렀던 기억이 있는데, 최근에 책에서 자목련과 자주목련은 다르다는걸 알게 되었어요ㅎ 제가 찍은 목련은 꽃잎 겉은 자주색, 안쪽은 흰색을 띠는데요. 이 목련을 자주목련이라 부른다고 합니다. 반대로 안밖이 모두 자주색을 띠는 꽃을 자목련이라 하네요. 보통 아파트나 건물 조경으로 자주목련을 쓴다고해서 그동안 이런 색의 꽃만 보였나봅니다. 자목련은 인터넷으로 검색해서 봤는데, 자주는 못 봤던것 같네요. 집주변에 붉은 목련이 어떤 목련인지 한 번 확인해보는건 어떨까요~^^ 2022. 5. 6. DNA와 염색체, 사람의 염색체 DNA와 염색체, 특히 염색체가 세포에서 어떻게 존재하는지 소개하겠습니다. 그리고 사람의 염색체에 대해서도 말씀드리겠습니다. 염색체 DNA와 유전자에 대해 포스팅을 몇 번 했는데요, 함께 헷갈리는 개념이 염색체입니다. 염색체에 대해서 이야기하려면 염색사를 빼놓을 수 없는데요, DNA의 분자는 너무 가늘고 길어서 안정적으로 존재하기 위해 히스톤이라는 단백질과 함께 차곡차곡 접힌 상태로 존재하게 됩니다. 그렇게 조금 더 굵은 실모양이 되고 이것을 염색사라고 합니다. 평상시 세포의 핵에서 DNA는 이렇게 염색사 상태로 있다가 세포분열시 염색사가 다시 뭉쳐서 더 응집된 상태가 되고 이를 염색체(chromosome)라고 합니다. 세포가 분열할 때 유전물질을 복제하면서 염색사가 두배가 됩니다. 하지만 이상태로는 워.. 2022. 5. 4. RNA 바이러스 RNA 바이러스의 종류, 특성에 대해서 소개하겠습니다. RNA 바이러스의 특성 요즘 RNA에 대해서 포스팅하고 있는데요, 바이러스도 생물적 특징을 가지고 있고 그 증거로 유전물질을 가집니다. 모든 생물이 DNA를 유전물질로 가지고 있는 것에 반해 바이러스는 DNA를 유전물질로 가지는 종류도 있지만, RNA를 유전물질로 사용하는 종도 상당히 많습니다. RNA는 DNA와 다르게 단일가닥으로 존재하기때문에 항상 구조적으로 불안정하며 쉽게 변형될 수 있는 위험성을 가집니다. 즉, RNA를 유전물질로 가지는 RNA 바이러스는 DNA 바이러스보다 상대적으로 유전자가 쉽게 변형되어 변종이 나올 확률이 높습니다. RNA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 이로인해 무서운 질병의 상당수가 이에 해당되는데요. 유명한 바이러스성 질병 중.. 2022. 5. 4. 이전 1 ··· 32 33 34 35 36 37 38 ··· 4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