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5

담쟁이덩굴의 특징 담쟁이덩굴의 덩굴 식물로서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담쟁이덩굴의 특징 다래, 등나무, 칡 같은 덩굴식물은 올라탈 나무를 감고 올라갑니다. 이는 나무의 물관과 체관을 압박하는데, 그 결과 나무가 죽게 됩니다. 나무는 죽은 뒤에도 똑바로 서 있기 때문에 덩굴식물은 한동안 햇빛을 받으며 성장할 수 있어서 이득이죠. 하지만 같은 덩굴식물이라도 담쟁이는 다릅니다. 흡착판이 있는 개구리 발 같은 뿌리가 나오기 때문에 칭칭 감고 올라갈 필요가 없습니다. 그 흡착판으로 나무줄기나 담벼락에 붙어서 뻗어간다. 남에게 피해를 적게 주면서 자랍니다. 담쟁이는 매끈한 벽면도 흡착판으로 붙어서 몸을 지탱할 수 있습니다. 지름이 1mm밖에 안 되는 흡착판 하나가 200g을 지탱하고, 전체적으로 자기 몸무게의 수만 배를 지.. 2022. 8. 5.
미생물 단백질로 탄소 배출량 감소 미생물을 이용해 단백질을 만드는 기술로 탄소 배출량을 얼마나 줄일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1. 미생물 단백질 또는 공기 단백질이란? 미생물 단백질 연구의 시작은 우주비행사용 단백질 공급 문제 해결이었습니다. 수소영양박테리아는 수소와 이산화탄소를 먹이로 이용해 단백질을 토해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했으며, 이 단백질의 경우 순도 80%로, 콩의 단백질 함유량 40%의 두배라고 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다양한 기업에서 개발되고 있는데, 어느 회사의 경우 미생물 단백질은 식물육, 배양육보다 100배나 더 친환경적입니다. 1㎏의 소고기를 생산하는 데는 1만5천리터의 물이, 1㎏의 대두를 생산하는 데는 2500리터의 물이 필요하지만, 미생물 단백질 1㎏을 생산하는 데는 10리터의 물만 있으면 된다.. 2022. 7. 31.
모기 퇴치 방법: 유전자 변형(GM) 모기 모기는 지역에 따라 다양한 질병의 매개체가 됩니다. 야생 이집트숲모기는 소두증을 일으키는 지카바이러스와 급성 열질환을 일으키는 뎅기 바이러스를 옮깁니다. 이러한 모기의 개체수를 줄이는 GM 모기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1. 유전자 변형(GM) 모기 지난해 4월부터 7개월간 미국 플로리다 남쪽 키스 제도에서 500만 마리의 유전자 변형 모기를 방사해 모기 개체수를 줄이는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이 방식의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전자 변형 모기는 암컷 자손에서 발현되는 치사 유전자를 갖고 있습니다. 치사 유전자란 이 유전자를 가지고 태어난 개체는 유전자가 발현되어 성체가 되기 전에 일찍 죽게 됩니다. 결국 유전자 변형 수컷 모기가 야생의 암컷 모기와 짝짓기를 해 태어난 자손 중 암컷이 일찍 죽게 되.. 2022. 7. 31.
꽃가루받이 전략, 충매화의 수분 방식 식물의 꽃가루받이(수분) 전략에 대해 소개합니다. 1. 특정 곤충만 꽃가루받이(수분)에 참여시키는 전략 토마토의 꽃가루 주머니는 평상시에는 닫혀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토마토의 닫힌 꽃가루주머니는 350Hz 진동에서 열리는데, 그 진동은 벌의 날갯짓에서 나오는 진동과 같습니다. 즉, 토마토의 꽃가루받이는 오직 벌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며, 이같이, 특정한 곤충이 오는 것은 꽃가루받이 확률을 높인다고 합니다. 그래서 나비, 딱정벌레, 등에나 파리 등 다른 곤충보다 벌이 오게 해서 꽃가루받이 확률을 높입니다. 특정 곤충이 오게하면 왜 수분 확률이 높아질까요? 꿀 1kg을 만들려면 벌 한 마리가 꿀을 따러 벌집에서 약 4만 번 나갔다가 돌아와야 합니다. 벌이 한 번에 배 속에 모을 수 있는 꿀의 양이 많지 않아서 .. 2022. 7.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