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65

자주개자리, 갈퀴나물 구분하기 여름에서 초가을까지 들이나 길가에서 만나볼 수 있는 자주색 야생화인 자주개자리와 갈퀴나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기본적인 특징 가. 자주개자리 분류: 콩과 개자리속 분포지역: 전국, 지중해 원산의 귀화식물 형태: 여러해살이풀 개화시기: 7~8월 자주개자리는 콩과이지만 개자리속에 속합니다. 흔히 '알팔파'라고 불리는데, 알팔파 종류의 식물들은 사료, 건초 및 목초로 쓰기 위해 널리 재배되고 있습니다. 자주개자리는 유럽 원산으로 목장의 목초로 재배하던 것이 우리나라 전역에 퍼져 나가 자라게 되었습니다. 나. 갈퀴나물 분류: 콩과 나비나물속 분포지역: 전국 형태: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개화시기: 6~9월 갈퀴나물은 들이나 산기슭에서 자라는 덩굴 식물로 제 경험상 물가 근처에서 잘 발견됩니다. 갈퀴나물은 이.. 2022. 10. 8.
댑싸리의 특징 경북 칠곡군의 가산수피아에서 확인한 댑싸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조경수로 가끔 본적이 있었는데요, 참 화려하고 멋있습니다. 1. 댑싸리의 특징 분류: 명아주과 분포지역: 유럽 및 아시아가 원산지, 전국적으로 재배되며, 일부 야생으로 발견됨 형태: 한해살이풀 개화시기: 7~8월 식물의 키는 약 1~2m인 비교적 아담한 크기의 조경 식물입니다. 뜰에 심던 것이 산과 들로 퍼져 나간 경우도 있는데 위 사진은 가산수피아라는 개인 농원에서 조경으로 예쁘게 심은 것입니다. 원산지는 유럽과 아시아이고 한국에서는 전국 곳곳의 길가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식물체를 말려서 빗자루를 만들기도 하며 공업용으로 이용하기도 합니다. 줄기는 처음엔 녹색이었다가 나중에 붉게 변합니다. 아래 사진으로 비교해보세요. 2. 댑싸리 열매.. 2022. 10. 8.
개구리밥, 좀개구리밥 구분하기 논이나 습지, 심지어 학교 화단의 연못이나 물화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수생식물이 개구리밥입니다. 개구리밥 외에도 좀개구리밥이 있는데요, 이름 그대로 좀 더 작은 느낌의 식물 같은데 정확히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개구리밥, 좀개구리밥 분류: 개구리밥과 분포지역: 전국 형태: 여러해살이풀 개화시기: 7~8월 개구리밥과 좀개구리밥은 잎과 뿌리로 구분됩니다. 가. 잎 이름 그대로 잎 크기의 차이가 있지만 실제로 크기만으로는 구분하기가 어렵습니다. 개구리밥의 잎의 크기는 길이 5~8mm, 폭 4~6mm이지만, 좀개구리밥은 길이 3~5mm, 폭 2~4mm로 좀 더 작습니다. 좀더 큰 차이라면 잎 뒷면의 색입니다. 개구리밥 잎은 공기와 접해있는 면은 초록색이지만 물에 잠겨있는 면은 자주색입니다. .. 2022. 10. 5.
참나무 구분하기,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우리나라 산의 우점종은 단연 참나무입니다. 등산을 하다 보면 초입에는 소나무들이 보이지만 한참 올라가다 보면 참나무 숲을 만날 수 있습니다. 이 참나무에도 다양한 종들이 있고, 구분하기가 쉽지만은 않습니다. 저도 참나무 포스팅을 하려고 사진도 모으고, 미루고 미루다가 드디어 글을 씁니다. 특히, 요즘 도토리가 많이 보이는데요, 그 도토리의 주인이 누구인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참나무 구분법 우리나라 참나무는 크게 6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입니다. 각각의 나무는 잎모양과 도토리 모양이 조금씩 다릅니다. 먼저 대략적인 구분법입니다. 가. 잎 모양으로 먼저 분류하기 잎의 모양이 밤나무 잎처럼 날렵하며 길쭉하고 잎가장자리에 바늘 같은 톱니가.. 2022. 10.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