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과학162

거인이 될 수 없는 이유, 체적과 면적의 차이 영화에서나 '진격의 거인'같은 만화에서는 다양한 거인이 등장합니다. 사람의 경우 키가 크더라도 2m 남짓인데요. 우리의 몸이 이보다 더 커진다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1. 역학적 문제의 발생, 발목에 가해지는 부하 거인으로 변한다고 했을 때, 인간의 키가 10배 커지면, 체중은 체적에 비례하므로 10×10×10=1000배가 됩니다. 반면, 체중을 떠받치는 발바닥의 면적, 관절에서 뼈끼리의 접촉 면적 등은 10×10=100배 밖에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발바닥과 관절에 걸리는 압력은 거인이 되기 전 보다 10배 커지게 됩니다. 현실적으로 직립 보행조차 할 수 없는 상태가 될 것입니다. 2. 열의 문제 인간의 세포는 세호호흡을 통해 항상 일정량의 열을 발생시킵니다. 특히 체온 항상성.. 2022. 9. 22.
물옥잠과 부레옥잠 비교하기 대표적인 수생식물에 부레옥잠이 있습니다. 이 부레옥잠과 많은 면에서 비슷하면서도 비교되는 물옥잠에 대해 알아보고, 두 식물을 구분해보겠습니다. 1. 부레옥잠 분류: 물옥잠과 분포지역: 전국 논이나 못, 관상용으로 많이 기름 형태: 다년생 부수성 수초 개화시기: 8월 ~ 9월 잎자루(엽병) 부분이 부풀어 올라 마치 물고기의 부레처럼 보입니다. 공기주머니를 가진 잎자루 덕분에 수면에 떠서 자랄 수 있습니다. 꽃은 연보라색의 예쁜 꽃이 핍니다. 정화조 식물로도 잘 알려져 있는데요. 정화조 고인물에 함께 길러서 수질을 정화시키기도 합니다. 더불어, 중금속 제거 기능도 알려져 있습니다. 2. 물옥잠 관상용으로 심긴 수생식물을 보고 처음엔 유명한 부레옥잠이라고 생각했었습니다. 마침 근처 습지를 걸을 때도 같은 식물.. 2022. 9. 21.
수크령과 강아지풀 비교하기 간혹 커다란 사이즈의 강아지풀을 본 적이 있을 겁니다. 저는 강아지풀의 변종인가 의심한 적이 있는데요. 실제로는 수크령이라고 하는 같은 벼과의 식물이었습니다. 수크령과 강아지풀을 비교해서 살펴보겠습니다. 1. 강아지풀 벼과 식물은 가을이 되기까지는 아무런 특징도 없이 뾰족한 잎만 수북이 내어 바람에 나부끼다가 때가 되면 일제히 장관을 연출합니다. 흔히 볼 수 있는 벼과 식물이 바로 강아지풀입니다. 강아지풀 꽃이 예쁘게 처져 있는데요, 이 모습이 강아지 꼬리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일본에서는 강아지풀을 고양이 앞에서 흔들면 고양이가 재롱을 부린다고 해서 고양이풀로도 불린다고 합니다. 영어로는 foxtail인데요, 말 그대로 여우꼬리를 빗댔습니다. 각 나라별로 친숙한 동물에서 이름을 따온 것 같.. 2022. 9. 18.
맥문동과 소엽맥문동(티어스 오브 골드) 화단에서 많이 볼 수 있고 보라색 꽃이 피는 맥문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소엽맥문동과 비교해보면 더 구분이 쉬울 것 같습니다. 1. 맥문동 분류: 백합과 분포지역: 중부 이남 형태: 여러해살이풀 개화시기: 5월 ~ 7월 분류상 맥문동은 백합과 맥문동속이지만, 소엽맥문동은 백합과 맥문아재비속입니다. 소엽맥문동(길이 10~30cm, 나비 2~4mm)과 비교했을 때, 잎의 길이는 30~50cm, 나비는 8~12mm로 더 큽니다. 꽃은 맥문동이 보라색 계열인데 반해, 소엽맥문동은 연한 자주색 또는 흰색입니다. 열매는 맥문동은 10~11월에 검푸른색으로 열립니다. 소엽맥문동의 경우 10~11월에 짙은 하늘색의 열매가 열립니다. 2. 소엽맥문동 분류: 백합과 분포지역: 남부지방 형태: 여러해살이풀 개화시기: 5월.. 2022. 9.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