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과학/유전학22 DNA와 관련된 숫자 세포 수 유전자 수 염기 수 염색체 수 유전학에서 DNA, 염색체, 유전자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각 개념의 뜻과 DNA, 염색체, 유전자가 우리 몸에서 얼마나 존재하는지 구체적인 숫자를 소개하면서 유전학을 이해하려고 합니다. 또한 유전자와 DNA의 관계에 대해서도 소개합니다. 유전학과 관련한 개념과 각각의 숫자 우리 몸을 이루는 세포수: 약 60조 개 세포핵에 들어있는 염색체 수: 46개(23쌍) 세포핵에 들어있는 DNA의 염기수: 약 30억 개 사람이 가지는 유전자의 수: 약 2만 5천 개 유전자와 DNA의 관계 많은 분들이 유전자와 DNA가 어떤 관계인지 헷갈려합니다. 사람의 세포의 핵 안에는 DNA가 들어있습니다. DNA는 유전 정보를 가지고 있는데, A, G, C, T 네 가지의 염기로 정보를 저장하죠. 이러한 염기서열을 게놈이라고 합.. 2022. 5. 4. 염색체의 구조, 뉴클레오솜 오랜만에 유전 내용을 가지고 왔습니다. 염색체와 유전자에 대한 내용은 예전에 포스팅을 했었는데요. 이번에는 염색체가 구조적으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염색체의 구조 사람의 경우 염색체를 46개 가지는데, 각각의 염색체는 DNA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스케일면에서 DNA는 매우 미시적이고, 상대적으로 염색체는 덩치가 크다고 할 수 있는데요. 이러한 작은 DNA가 어떻게 염색체를 구성하고 있을까요? 위의 그림처럼 굉장히 촘촘하게 접히면서 응축됩니다. 이때, DNA는 그냥 접히는 것이 아니라, 히스톤이라는 단백질 8개가 한 세트가 되고 이 단백질을 두 바퀴 감으면서 뉴클레오솜이라는 구조를 만들게 됩니다. 이러한 뉴클레오솜이 다시 촘촘하게 감기면서 염색사를 구성하며, 실 같은 구조를 가진 염색사는.. 2022. 5. 3. DNA와 RNA의 구조적 차이 DNA와 RNA는 구조적으로 상당히 유사한 분자입니다. 구성하는 당과 염기에서 일부 차이가 있는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에서 차이가 있는지 설명하겠습니다. 당의 차이, 리보스와 디옥시리보스 지난번에 DNA의 풀네임이 Deoxyribo Nucleic Acid라고 말씀드렸는데요, RNA는 친구 뻘이 됩니다ㅎ 차이점 중에 하나가 가지고 있는 당의 종류인데요, RNA는 리보스라는 당을 가지지만 DNA는 디옥시리보스라는 당을 가집니다. 이름에 힌트가 있지만 디옥시리보스는 리보스보다 산소 원자가 1개 부족합니다. 결론적으로 RNA는 리보스를 당으로 가지는 핵산이란 의미로 Ribo Nucleic Acid의 줄임말이 되게 되는 거죠. 염기의 차이, 티민과 유라실 DNA를 구성하는 염기의 종류에는 아데닌(A) 구아닌(.. 2022. 5. 2. 혈액형 가계도, 혈액형 유전 혈액형 유전 가계도에 대해서 세 번째로 인사드립니다. 가족끼리는 아무래도 혈액형이 같을 확률이 높겠죠? 하지만 저희 가족처럼(저와 누나, 부모님 해서 4명이 모두 혈액형이 다릅니다...) 혈액형이 다양하게 나올 수 도 있는데요. 그렇게 나올 수 있는 경우가 다음과 같습니다. 위 가계도는 4인 가족 기준으로 혈액형이 모두 다르게 나올 수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입니다. 단, 두 가지 케이스가 있습니다. 부모님이 AB형, O형이면 자녀에 A형 또는 B형이 나올 수 있습니다. 부모님이 각각 A형, B형이고 혈액형 유전자(유전자형)가 AO, BO라면 자녀에 AB형 또는 O형이 나올 수 있습니다. 어디까지나 확률의 문제니까 자녀가 꼭 저렇게 두 가지로 나오지 않고 한 가지로만 나올 수 도 있겠죠 ㅎㅎ 혈액형과 관련.. 2022. 4. 29.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