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생물단백질 #공기단백질 #미생물고기1 미생물 단백질로 탄소 배출량 감소 미생물을 이용해 단백질을 만드는 기술로 탄소 배출량을 얼마나 줄일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1. 미생물 단백질 또는 공기 단백질이란? 미생물 단백질 연구의 시작은 우주비행사용 단백질 공급 문제 해결이었습니다. 수소영양박테리아는 수소와 이산화탄소를 먹이로 이용해 단백질을 토해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했으며, 이 단백질의 경우 순도 80%로, 콩의 단백질 함유량 40%의 두배라고 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다양한 기업에서 개발되고 있는데, 어느 회사의 경우 미생물 단백질은 식물육, 배양육보다 100배나 더 친환경적입니다. 1㎏의 소고기를 생산하는 데는 1만5천리터의 물이, 1㎏의 대두를 생산하는 데는 2500리터의 물이 필요하지만, 미생물 단백질 1㎏을 생산하는 데는 10리터의 물만 있으면 된다.. 2022. 7. 3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