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과학162

혈액형 가계도, 우리 가족의 혈액형은? 자손의 혈액형이 결정되는 원리를 혈액형 유전 가계도를 통해 설명하겠습니다. 가계도 보는 법 지난번에 포스팅했던 아들 혈액형 이야기의 2탄입니다. 유전 연구에서 가계도라는 것을 보셨을 텐데요, 여자는 원, 남자는 사각형으로 표현됩니다. 부모와 자식 관계는 교차해서 내려오는 실선으로 표현됩니다. 이상 기본적인 소개였고, 저희 가족 혈액형 가계도를 소개합니다. 혈액형 가계도 분석 지난번에 소개한 대로 아내는 O형, 아들 녀석도 O형입니다. 빨간색으로 표현한 것이 혈액형 유전자(유전자형)입니다. A형인 제가 혈액형 유전자가 AO인데요 그 이유는 저와 저의 부모님 혈액형 가계도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저의 아버지는 AB형, 어머니는 O형이라서 B형인 누나와 A형인 제가 태어날 수 있었고, A형인 저의 유전자는 .. 2022. 4. 29.
잎보다 꽃이 먼저 피는 식물, 봄철 야생화 많은 식물 중에 잎이 나기 전에 꽃이 먼저 피는 식물들이 있습니다. 어떤 식물일 있는지, 어떤 이유에서 그런 특징이 나타나는지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잎보다 꽃이 먼저 피는 식물 봄이 되면 봄꽃들이 너도나도 피기 시작하는데요, 잎이 나기 전에 꽃이 먼저 피는 식물이 제법 있습니다. 사진에 보이는 산수유를 비롯해서 벚나무, 개나리, 진달래, 매실나무 등이 있는데요, 이 식물들은 왜 꽃이 먼저 피는 걸까요? 꽃이 먼저 피었을 때 장점 우리가 신이 아니기 때문에 확신할 순 없지만 진화적으로 접근하면 몇 가지 장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른 봄에 잎과 꽃, 줄기까지 내려면 에너지가 너무 많이 들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꽃을 먼저 내고, 나중에 잎을 내서 추후에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얻어 성장을 하게 됩니다. 꽃.. 2022. 4. 28.
진달래, 철쭉의 꽃잎 점, 허니 가이드 진달래와 철쭉을 비교할 때 큰 차이점 중 하나가 허니 가이드가 뚜렷하냐입니다. 사진은 제가 찍은 아파트 내에 있는 산철쭉인데요, 꽃잎에 선명한 점들이 보입니다. 진달래의 경우 안보이거나 색이 매우 엷습니다. 허니 가이드의 정의 및 역할 이러한 꽃잎 점을 허니 가이드 또는 넥타 가이드라고 하는데요, 허니 가이드란 꿀 선이라고 해서 꿀을 찾는 곤충들이 잘 찾아오도록 유인 및 안내하는 역할을 합니다. 물론 곤충에 의해 꽃의 수분(수정)이 일어나기 때문에 식물의 손해만은 아닙니다^^ 곤충은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자외선을 볼 수 있어서 우리가 보는 꽃과 벌이 보는 꽃은 다릅니다. 자외선 카메라로 특수촬영한 결과, 거의 모든 꽃에 허니 가이드가 있다고 합니다. 우리 눈에는 없는 듯해도 벌에게는 잘 보이는 것이죠... 2022. 4. 28.
서양 민들레와 토종 민들레 차이, 구별 서양 민들레와 토종 민들레의 차이점과 국화과 꽃의 특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국화과 꽃의 특징 흔하디 흔한 야생화 중에 하나가 민들레가 아닐까 싶은데요, 요즘 길에서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민들레는 국화과로 국화과 꽃들의 특징은 작은 꽃들이 모여나는 두상화 형태를 가지는 것입니다. 지난번에 포스팅한 씀바귀도 비슷한 특징을 가지죠. 민들레 씨를 불어서 날리면 하나하나 흩어져 날아가는데, 각각이 하나의 꽃들입니다ㅎ 우리 주변의 민들레를 한번 자세히 살펴볼까요? 서양 민들레와 토종 민들레 사진에서 노란 민들레 꽃을 아래에서 감싸는 부분을 총포라고 하는데요, 자세히보면 총포가 아래쪽으로 처져있습니다. 이번에는 흰민들레인데 총포를 잘 보시면 아래로 처지지않고 위쪽으로 솟아있습니다. 이렇게 총포가 위로 솟은 민들레.. 2022. 4.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