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식물

울릉도에서 볼 수 있는 식물(후박나무, 약모밀(어성초), 섬꼬리풀, 마편초, 송악, 머위)

by 서재 속 동전 2022. 8. 9.
728x90
반응형

울릉도에서 볼 수 있는 식물들입니다.

 

1. 후박나무

후박나무
후박나무

분류: 녹나무과

분포지역: 남부지방, 울릉도

형태: 상록 활엽 교목

개화시기: 5~6

 

  울릉도, 남쪽 도서지방, 변산반도, 여수에서 오동도에 이르는 곳,, 울산 위쪽까지 자라며, 식재 북한계선은 포항이며 천리포 수목원에 식재되어 자라고 있습니다.

 

2. 약모밀(어성초)

약모밀

분류: 삼백초과

분포지역: 제주도, 울릉도, 남부지역의 습지

형태: 여러해살이풀

개화시기: 6

 

  원래는 약모밀이라는 약초이며 잎에서 비린내가 난다고 해서 어성초라고 이름 붙여졌습니다. 잡초와 같은 왕성한 번식력을 자랑하는 약모밀(어성초)는 나쁜 피, 즉 어혈을 풀어주고, 살균효과가 뛰어나 아토피에 좋다고 알려지면서 관심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군이 주둔하던 병영지 주변에는 항시 약모밀을 재배하여 항생제 대용으로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남아있습니다.

 

3. 섬꼬리풀

섬꼬리풀

섬꼬리풀

분류: 현삼과

분포지역: 경북, 울릉도

형태: 여러해살이풀

개화시기: 6~7

 

4. 마편초

마편초
마편초

분류: 마편초과

분포지역: 울릉도, 제주도, 남해안 지방

형태: 여러해살이풀

개화시기: 7~8

 

  신경계에 대한 강장작용이 있어 우울 상태를 해소시키고 신경 피로를 줄입니다.

 

5. 송악

송악
송악

분류: 두릅나무과

분포지역: 울릉도, 남부지방

형태: 상록 활엽 덩굴성

개화시기: 9월 말~11월 중순

 

  담쟁이덩굴과 헷갈릴 수 있는 덩굴식물입니다. 연령에 따라 잎 모양이 다른데, 사진처럼 어린 가지에 달린 잎은 35개로 갈라지지만 늙은 나무의 잎은 달걀 모양 또는 사각형입니다.

 

6. 머위

머위

분류: 국화과

분포지역: 제주도, 울릉도, 남부지방 산지, 습지

형태: 여러해살이풀

개화시기: 이른봄

 

 

  지금까지 울릉도에서 볼 수 있는 식물을 살펴봤습니다. 울릉도에 가시면 한번 찾아보시는게 어떨까요?

 

 

 

울릉도에서만 자라는 초본 식물(섬시호, 섬말나리, 섬바디, 물엉겅퀴, 섬초롱꽃)

https://scinews.tistory.com/108

 

울릉도에서만 자라는 초본 식물(섬시호, 섬말나리, 섬바디, 물엉겅퀴, 섬초롱꽃)

울릉도에서만 자생하는 초본 식물(풀)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1. 섬시호 분류: 산형과 분포지역: 울릉도 형태: 여러해살이풀 개화시기: 7~8월 한국 특산종으로 울릉도에서 자라며, 멸종위기 야생

scinews.tistory.com

울릉도에서만 자라는 목본 식물(회솔나무, 섬백리향, 섬쥐똥나무, 우산고로쇠)

https://scinews.tistory.com/109

 

울릉도에서만 자라는 목본 식물(회솔나무, 섬백리향, 섬쥐똥나무, 우산고로쇠)

울릉도에서만 자라는 목본 식물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1. 회솔나무 분류: 주목과 분포지역: 울릉도 형태: 상록침엽교목 개화시기: 4월 울릉도 자생종인 솔송나무와 매우 유사합니다. 회솔나무

scinews.tistory.com

반응형

댓글